작성일 : 19-10-06 01:16
연중 제26주일 (2019년9월29일)
인쇄
 글쓴이 : 박봉준
조회 : 651  
   19-0929연중제26주일다해 2.pdf (185.3K) [376] DATE : 2019-10-06 01:16:44 PDF보기

+찬미예수님

(김한모신부님의 훈화말씀 입니다.)

 

                묵주기도

묵주기도는 로사리오(Rosario)”이며그 뜻이 장미 꽃다발’, ‘장미 화관입니다.

묵주기도를 두고 왜 하필이면 장미 꽃다발이라고 하였을까요?

그 기원은 초대 교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이교인들은 자신을 신()에게 바친다는 의미로 머리에 장미화관을 쓰는 관습이 있었습니다.

이를 보고 초대 교회 신자들은 기도하는 마음으로 장미화관을 하느님께 바쳤습니다.

특히 박해 당시 신자들은 원형 경기장인 콜로세움에 끌려가 사자의 먹이가 될 때 머리에 월계수 잎이나 장미꽃으로 엮은 관을 썼는데그 화관이야말로 하느님을 뵙고 자신을 하느님께 바치는 데

합당한 예모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입니다.

또한 박해를 피한 신자들의 경우에는 밤중에 몰래 순교자들의 시신을 거두면서

순교자들이 썼던 장미화관을 한데 모아 놓고꽃송이마다 기도를 한 가지씩 바쳤다고 합니다.

묵주기도는 바로 이러한 순교자들의 장미화관을 연상시킵니다.

그러므로 묵주기도를 하는 사람은 순교자들이 그러하였던 것처럼,장미화관과 함께 자기 자신을 하느님께 봉헌한다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묵주기도 성월입니다.

10월 한 달을 보내면서 우리 자신이 묵주기도를 어떤 마음으로 바치고 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묵주기도는 주문을 외우듯이 성모송을 바치며 하느님께 우리가 바라고자 하는 바를 강요하기 위해 바치는 기도가 아닙니다.

우리 자신을 하느님께 봉헌하는 기도이며, 성모님과 함께 그 봉헌을 이루어가고, 그 안에서 들려주시는 하느님의 말씀을 듣는 기도가 바로 묵주기인 것입니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51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주보보기 - 한컴 뷰어 웹섬김이 2014-10-03 10051
518 연중 제12주일 (2024년6월23일) 박봉준 2024-06-21 51
517 연중 제11주일 (2024년6월16일) 박봉준 2024-06-14 71
516 연중 제10주일 (2024년6월9일) 박봉준 2024-06-07 103
515 성체성혈대축일 (2024년6월2일) 박봉준 2024-06-01 103
514 삼위일체대축일 (2024년5월26일) 박봉준 2024-05-26 122
513 성령강림대축일 (2024년5월19일) 박봉준 2024-05-17 146
512 주님승천대축일 (2024년5월12일) 박봉준 2024-05-10 200
511 부활 제6주일 (2024년5월5일) 박봉준 2024-05-03 170
510 부활 제5주일 (2024년4월28일) 박봉준 2024-04-26 334
509 부활 제4주일 (2024년4월21일) 박봉준 2024-04-19 315
508 부활 제3주일 (2024년4월14일) 박봉준 2024-04-12 225
507 하느님의 자비 주일 (2024년4월7일) 박봉준 2024-04-05 168
506 주님 부활 대축일 (2024년3월31일) 박봉준 2024-03-29 186
505 주님수난성지주일 (2024년3월24일) 박봉준 2024-03-22 152
504 사순 제5주일 (2024년3월17일) 박봉준 2024-03-22 122
503 사순 제4주일 (2024년3월10일) 박봉준 2024-03-08 196
 1  2  3  4  5  6  7  8  9  10